본문 바로가기
영어

[영작] To stand in the crowded subway for 30 minutes, or to sit in the subway for 3 hours?

by 작가선생 2022. 9. 1.

 

My Writing Practice

 

지하철 열린 문으로 빽빽하게 타고 있는 사람들이 바깥을 바라보고 있음. 너무 붐벼서 발디딜 틈 없이 타고 있음한적한 지하철. 사람들이 거의 없고 좌석에 앉아있는 사람 단 두명 뿐임.

 

 

[Balance Game]

Which one would you choose? To stand in the crowded subway for 30 minutes or to sit in the subway for 3 hours? And tell me why you chose it over the other one?

 

 

I would choose to sit in the subway for 3 hours unless I have an urgent or fixed schedule.

 

I rarely feel comfortable in crowded places. I guess my comfort zone is more significant than others. Shoulders get stiff, legs are swollen, and stress levels are high by experiencing a suffocating subway. Standing there only for 30 minutes can consume my physical and mental energy.

 

Besides, as the corona pandemic lasts for nearly 3 years, distancing became a normal routine and my comfort bubble grew even bigger than before. One crucial reason I chose to be a freelancer instead of a stable job working in an office is to escape from the so-called subway commuting hell.

 

Still, you might criticize me that it’s a waste of time. However, I’d have a comfy seat for 3 hours to do productive things, such as reading books, - I can finish one book each day during a round trip for six hours.- knitting, meditating or organizing my thoughts and writing.

 

The problem is the worst thing. For example, sitting on the platform for three hours and in the end, I reluctantly load my body into the packed subway. Or luckily conquering a seat, I should turn a blind eye to unlucky standing people’s tired looks in front of me for 3 hours.

- J.H. Yoon

 

 

[밸런스 게임] 어떤 걸 선택할래요?

- 사람 빽빽한 지하철에서 30분 내내 서서 가기

- 3시간이 걸리더라도 앉아서 가기

 

저는 3시간이 걸리더라도 앉아서 가는 걸 택하겠습니다. 급한 일이 생겼거나 시간이 딱 정해진 약속이 있는 게 아니라면요.

 

저는 사람들이 붐비는 곳은 좀처럼 편하지가 않습니다. 개인적으로 사적인 공간이 많이 필요하다고 느낍니다. 누구나 그렇겠지만 숨 막히는 지하철 안에서는 어깨가 뭉치고, 다리가 붓고, 스트레스 지수가 높아져요. 단 30분이라고는 하지만 정신적으로도 육체적으로도 에너지 소모가 상당합니다.

 

게다가 코로나 팬데믹이 길어지면서 거리두기가 일상이 되고 있죠. 3년 가까이 익숙해지다 보니 사적인 영역을 인식하는 범위가 오히려 더 커졌습니다. 제가 안정적인 회사원이 아니라 프리랜서로 일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출퇴근 시간 지옥철을 경험하기 싫어서입니다.

 

아무리 그래도 지하철을 3시간이나 타는 건 시간 낭비 아니냐, 지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30분 동안 몸과 마음을 괴롭히면서 오로지 이동에만 신경을 쓰는 것보다 편안하게 앉아있는 3시간을 확보해서 책을 읽거나 -왕복 6시간이면 하루 1권씩 읽을 수 있겠네요- 뜨개질을 하거나, 명상을 하거나, 생각을 정리해 글을 써보는 등의 생산적인 일을 하겠습니다.

 

문제는 최악의 상황이죠. 예를 들면, 지하철 승강장에서 3시간을 앉아서 기다리다 결국 만원 지하철을 타게 되는 일, 또는 빽빽한 지하철에서 운 좋게 앉을자리를 확보했지만 불편하게 서서 가는 이들의 고단한 얼굴을 외면해야 하는 순간 등이죠. 그것도 3시간 동안 을요.

 

 

#밸런스게임 #빽빽한지하철_30분서서가기 #3시간앉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