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

[월드] 남미 국가 '수리남'에 대한 알쓸신잡...10가지 흥미로운 사실 [1~5]

by 작가선생 2022. 9. 18.

 

Intro. 수리남을 잘 아세요?

 

솔직히! 넷플릭스 드라마 ‘수리남’을 보기 전에 ‘수리남’이란 나라에 대해 들어보셨어요? 지금 세계지도를 펼쳐서 3초 안에 ‘수리남’이 어딘지 콕 찍을 수 있으세요?

 

솔직히! 저는 전혀 몰랐습니다. 국제뉴스를 즐겨 보지만, 들어본 기억이 없는 것 같습니다.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어느 대륙에 있는지 짐작도 못했습니다.

 

사실은 ‘나라 이름’ 인지도 몰랐습니다. ‘수리남’이 한국어(한자)인 줄 알았습니다. 드라마에 나오는 비밀작전의 코드명이거나 주요 캐릭터 중 누군가의 닉네임이겠거니 했습니다. 영화 ‘도둑들’에서 팹시, 예니콜, 씹던 껌이라고 했던 것처럼요.

 

극중 전요한 목사를 중심으로 마약밀매 일당들이 걸어오고 있는 모습
(출처: 넷플릭스)

 

그러다 넷플릭스 드라마 ‘수리남’이 추석 연휴부터 슬슬 입소문을 타고, 흥행에 속도가 붙고, 기사들이 후드드 올라오기 시작하면서, 아~ 수리남이라는 곳이 배경이구나, 알게 됐습니다. 수리남 외교장관이 한국 드라마 제작사를 상대로 ‘법적 조치’를 예고한 사실이 이슈가 되면서 ‘수리남’이 나라 이름이라는 것도 확실하게 인지하게 됐습니다.

 

수리남 외교장관이 '법적 조치' 언급한 이유는?

수리남 외교장관, ‘수리남’ 법적 조치 “마약국 이미지 불편” (더팩트 9.15)

 

현지 뉴스가 잘 해석이 되진 않습니다. (관련 유튜브 영상) 공식 언어가 네덜란드어라고 합니다. 저는 댓글 읽어보려고 잠시 다녀와 봤습니다.

수리남 장관 뉴스영상 캡쳐
(출처: 유튜브 STVS Suriname)

 

지금 초록색 검색창에, 다음 검색창에도 ‘수리남’이라고 치면 넷플릭스 6부작 드라마가 메인으로 뜹니다. 몇 달 전 검색이었으면 달랐을까요? 아니요, 넷플릭스 드라마 ‘수리남’이 없었다면 남미 국가 ‘수리남’을 검색해서 찾아볼 일이 있었을까 싶습니다.

 

저는, 이참에 제대로 좀 알아보자, ‘수리남’이라는 나라에 대해 공부를 좀 해보자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것저것 자료를 쓱쓱 긁어모으다~ 수리남에 대한 ‘10가지’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1. 극중 인물 ‘강인구(하정우, 큰돈 벌 기회를 찾아 수리남으로 건너간 사업가)’가 수리남이라는 나라에 대해 알짝딱깔센 요약 소개를 했다!

 

드라마 첫 회를 여는 강인구의 내레이션입니다. “남아메리카 대륙 브라질 위에 위치한 인구 50만의 조그만 나라. 국토 절반이 밀림이고 전 국민의 절반 이상이 마약 산업에 관련돼 있는 다인종, 다언어 국가...”

 

공식 명칭은 ‘수리남 공화국(Republic of Suriname)’입니다. 수백 년 동안 영국과 네덜란드 제국의 식민지였습니다. ‘네덜란드령 기아나(Nederlands-Guiana)’라고 불리다가 1975년 독립했습니다. 공용어는 아직 네덜란드어를 씁니다.

 

남미 수리남 위치를 표시한 구글지도
남미 수리남 위치를 표시한 구글지도. 위쪽보 조금 확대해서 본 크기

 

지도에서 찾아보면, 브라질 위에, 베네수엘라 옆에 옆에 있습니다. 국토 면적이 약 16만㎢, 인구는 60만 명이 조금 안 됩니다. 우리나라(남한)보다 약 1.6배 큰 땅에서 강남구 인구만큼이 사는 셈입니다.

 

나라 이름 ‘수리남’은 원주민 부족의 이름에서 왔습니다. 한 영국인 탐험가가 이 지역의 인디오 부족 ‘수리넨’을 부르던 것이 국호가 됐습니다. 네덜란드어로 발음이 ‘쉬리나머’라고 합니다. ‘수리남’과 비슷하죠?

 

 

2. 수리남에 6.25 참전용사 할아버지들이 있다!

 

한국전 당시 수리남은 전투병 115명을 보냈습니다. 하지만 파병국 16개 나라 가운데 ‘수리남’은 공식 명단에 없습니다. 네덜란드령이어서 네덜란드군 소속으로 참전한 겁니다.

 

수리남의 수도 ‘파라마리보’에는 이렇게 ‘6.25 참전용사 기념동상’이 있습니다. 우리 정부가 2008년에 세웠습니다.

 

네덜란드 정부는 전투병을 모집할 당시, 전쟁이 끝나면 이들을 직업 군인으로 채용하기로 약속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살아 돌아온 수리남 참전용사들은 철저히 외면당했습니다. 대부분 가난과 질병으로 고생하다 세상을 떠났다고 합니다. 2016년에 생존해 있던 한국전 참전용사가 네 분이었는데요. 관할 공관인 주베네수엘라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네 분께 ‘평화의 사도’ 메달을 수여했습니다.

 

 

3. 수리남은 1988년 서울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땄다!

 

수리남에는 우리나라와 인연이 깊은 올림픽 스타가 있습니다. 수영 선수 ‘앤서니 네스티(Anthony Nesty)’입니다. 네스티 선수는 88 서울올림픽 수영 종목 ‘접영 100m’에서 세계 최정상의 자리에 올라 금메달을 목에 걸었습니다.

 

당시 유력한 우승 후보는 미국의 ‘매트 비욘디’ 였는데요. 네스티가 그를 0.01초 앞질렀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조국 수리남에 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을 선물했습니다. 올림픽 역사에서 ‘흑인’ 선수가 금메달을 딴 것도 최초였습니다. 스포츠계는 ‘최대 이변의 주인공’이라면서 네스티를 주목했습니다. 언론은 ‘불모지에서 기적을 쓴 사람’이라고 표현했습니다. 네스티 선수는 4년 뒤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땄습니다.

 

수리남은 스포츠 환경이 열악한 나라입니다. 국제대회에서 이렇다 할 성과를 낸 기록이 없습니다. 서울올림픽 이후 34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네스티는 수리남의 유일한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입니다. 현재는 미국 국가대표팀 수석코치로 일하고 있는데요. 최근 미국수영코치협회가 선정한 ‘조지 헤인스 올해의 코치’로 뽑히는 영예를 안기도 했습니다.

 

서울올림픽 金 수리남 수영 영웅, 美대표팀 '최고 코치' 됐다 (조선일보 9.15)

 

미국은 수영계에서 유색인종 선수나 코치를 찾기 힘들다고 합니다. 네스티가 무척 예외적인 사례인데요. 10대에 미국 플로리다에서 유학하면서 기량을 키운 경험이 있어, 은퇴 이후에도 지도자로서 미국과 계속 인연을 이어나가는 것으로 보입니다.

 

 

4. 수리남 국적의 ‘꽃미남’ UFC 선수가 KBS에 소개된 적 있다!

 

장진영 씨가 출연한 방송화면 캡쳐

 

KBS ‘이웃집 찰스’라는 프로그램이었는데요. 2020년 설 연휴에 방송이 나간 직후 종합격투기 선수 ‘장진영’이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아버지는 한국인, 어머니는 가이아나 사람입니다. 3살에 수리남에서 한국으로 왔고, 아버지 고향인 강릉에서 살다가 UFC 프로선수가 되겠다는 꿈을 안고 서울생활을 시작했습니다. 방송 당시 24살, 고정수입이 없고 주머니 사정이 넉넉지 않아, 편의점에서 먹을 것 하나 고르는데도 수백 번을 고민하는 모습이 시청자들 마음을 안타깝게 했습니다.

 

진영 씨는 다문화 가정에서 자라면서, 조금 다른 외모 때문에 친구들 사이에서 왕따를 많이 당했다고 합니다. 그 때문에 운동을 시작하게 됐다고도 했습니다. 수리남과 대한민국의 ‘이중국적’을 유지하려고 병역의무도 마쳤다고 밝혔는데요. ‘군필’ 사실이 알려지면서 호감도가 상승해 시청자들이 더욱 큰 응원을 보내기도 했습니다.

 

 

5. 사람 사는 곳은 국토의 2%뿐...유네스코 유산이 2곳이나 있다!

 

수리남은 해안을 중심으로 도시가 발달했고, 내륙은 대부분 정글입니다. 국토의 90% 이상이 열대 우림이고, 사람이 사는 지역은 전체 영토의 2%에 불과합니다. 주거지 면적의 비율로만 따지면, 수리남은 사람이 사는 나라이기보다, 자연에 친히 내어준 땅 같습니다.

 

중부 지역 약 160만ha에 걸쳐진 원시 열대림이 ‘중앙 수리남 자연보전지역(Central Suriname Nature Reserve)’으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돼 있는데요. 아마존 지역에서 몇 안 되는, 인간의 활동이 영향을 미치지 못한, 훼손되지 않은 숲입니다. 보전지역은 사람의 접근이 제한됩니다. 때문에 서식종에 대한 조사가 마무리되지 못했고 여전히 미지의 땅으로 남아 있습니다.

 

수리남의 수도 ‘파라마리보’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입니다. (Historic Inner City of Paramaribo) 현재까지도 16~17세기 네덜란드 풍의 도시건축 양식을 잘 간직하고 있는데다, 남미의 고유한 자재와 건축 기법을 유럽식 건설 기법과 융합해서 창의적인 건축 양식을 만들어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국제사회에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수리남은 유네스코가 인정한 ‘자연유산’과 ‘문화유산’을 모두 갖춘 나라였네요.

 

 

(다음 편에서 계속 이어갑니다. ^^)

 

 

#작가선생 #월드뉴스why #수리남 #알쓸신잡 #참전용사 #88서울올림픽 #꽃미남격투기선수 #유네스코세계자연유산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